Book10 [코딩 자율학습] 4. 롬복과 리팩터링 4.1. 롬복(lombok) - 코드를 간소화해주는 라이브러리 - getter(), setter(), constructor(), toString()과 같은 필수 메서드를 사용하기 마련인데, 롬복을 사용하면 필수 코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있음. - 로깅(logging) :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 - 리팩터링(refactoring): 코드의 기능에는 변함이 없이 코드의 구조 또는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 4.2. 롬복을 활용해 리팩터링하기 4.2.1. 롬복 설치 - build.gradle 파일에 롬복 추가 4.2.2. DTO 리팩터링 - @AllArgsConstructor 4.2.3. 엔티티 리팩터링 - @ToString 4.2.4. 컨트롤러에 로그 남기기 - @Slf4j - Simple.. 2023. 8. 15. [코딩 자율학습] 3. 게시판 CRUD 만들기 3.1. 폼 데이터(form data) - HTML 요소인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 - 태그는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 - 태그에 실어 보내는 데이터는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음. - 이 객체를 DTO(Data Transfer Object)라고 함. DTO로 받은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 - 속성 (1) action : URL연결 주소를 적어(action="/articles/create") 폼데이터를 보낸다는 의미. (2) method : get, post 2가지를 설정할 수있음. (method="post") 3.3 DTO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3.3.1. 데이터베이스와 JPA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를 관리하는 창고. - DB 프로그램 : .. 2023. 8. 15. [코딩 자율학습] 2. MVC 패턴 이해와 실습 2.1. 뷰 템플릿과 MVC 패턴 2.1.1. 뷰 템플릿 (View Template) -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 뷰. - 웹 페이지(View)를 하나의 틀(Template)로 만들고 여기에 변수를 삽입해 서로 다른 페이지로 보여줌. - 머스테치(Mustache)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만들떄 추가한 도구. 뷰 템플릿을 만드는 도구. 2.1.2. MVC 패턴 - 컨트롤러(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는 역할. - 모델(Model) :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 - MVC 패턴 : 웹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고(View),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Controller), 데이터를 관리하는(Model)역할을 나누는 기법. - 뷰페이지 만들기 > 컨트롤러 만들기 .. 2023. 8. 15. [코딩 자율학습] 1. 스프링부트 개요 1.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 스프링부트 : 자바 기반 웹 서비스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개발된 도구. 1-1. 스프링 부트란 - 자바 웹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기능과 도구가 모여있음.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더 쉽게 빠르게 자바 웹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음.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개선한 것. (1) 개발 환경 설정을 간소화 : 미리 설정된 스타터 프로젝트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해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연동할 필요가 없음. (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내장 : 내부에 웹 애플리케이션(WAS, Web Application Server)인 톰캣을 가지고 있음. 웹서비스를 jar파일로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음. 1-2. 스프링부트 개발환경 설정하기 (1) JDK (Java Developm.. 2023. 8. 15. [AWS Discovery Book] (1) 클라우드와 아마존 웹 서비스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1-1.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이라는 통신 서비스를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 종류의 하나. -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를 활용하는 기술. - 개인용 컴퓨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나 저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다른곳에서 빌려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해주는 IT기술. - 클라우드 서비스도 Pay-Per-Use-Pricing(사용량 기반 과금)이 적용되어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됨. 1-2. 배우는 이유 (1) 이미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 1~2년 전만해도 SMB(중소기업)나 Start Up 기업 위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했다면, 요즘은 중견기업 및 대기업도 도입을 검토하거나.. 2022. 2. 12.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 (4)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完) 1. 캐시(cashe) - 사용 빈도가 높지만 손실되어도 문제없는 데이터를 고속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위치에 두는 것. - 임시 저장소. - 일부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위치와 가까운 지점에 일시적으로 저장함. - 데이터 재사용을 전제로 함. - 데이터에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음. - 실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부하를 줄일 수 있음. * 활용 - 브라우저 캐시 : 웹서버 접속을 줄이고 브라우저 표시를 고속화함. -> 캐시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Microsoft\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에 저장됨. - 캐시 서버 : 웹 서버 자체 부하를 줄이는 법.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캐시 서버를 배치. 요즘에는 캐시서버를 서.. 2022. 2.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