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HTML5 + CSS313

[개념 정리] FRONT-END Q. TCP(전송제어프로토콜) 특징 - 연결지향(TCP 3 way handshake : 가상연결) : syn , syn+ack, ack - 데이터 전달 보증 - 순서 보장 -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Q. PORT? - 같은 IP내에서 프로세스 구분 - FTP(20,21), TELNET(23), HTTP(80), HTTPS(443) Q.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 - IP는 변경될수 있고, 외우기 어려우므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네임을 통해 IP에 엑세스 할수있도록 함. Q. URI? URL ? -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Q. 웹 프로토콜? -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 웹서버와 웹브라우저가 특정한 규칙에 따라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이용되는 규약. Q. HTTP 란? HTTP의 특징?.. 2021. 9. 6.
[Core JavaScript] 7. Class 1. Class 인스턴스 : 어떤 공통의 속성을 지니는 구체적인 대상 클래스 : 인스턴스들의 공통 속성을 모은 추상적인 개념 프로그램에서는 상위 클래스(superclass)가 정의되어야 하위 클래스(subclass)를 정의 가능. 2. Class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_name = name; this._age = age; } //static method Person.getInformations = function(instance) { return { name : instance._name; age : instance._age; }; } //(prototype) method Person.prototype.getName = function() { return this... 2021. 8. 29.
[Core JavaScript] 6. prototype 1. 프로토 타입 프로토 타입은 모두 객체 (숫자형, 문자형, 배열, 함수든 할것없이 모든 데이터 타입 [1,2,3].constructor = [1,2,3].[[Prototype]].constructor = Array.prototype.contructure = Array function Person(n, a){ this.name = n; this.age = a; } var roy = new Person('로이', 30); var royClone1 = new roy.__proto__.contructor('로이_클론1', 10); var royClone2 = new roy.contructor('로이_클론1', 25); var royClone3 = new Object.getPrototypeOf(roy).con.. 2021. 8. 29.
[Core JavaScript] 5. closure 1. closure (클로저) 'Lexical environment와 내부함수의 조합'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현상 컨텍스트 A에서 선언한 변수를 내부함수 B에서 참조할 경우에 발생하는 특별한 현상 컨텍스트 A에서 선언한 변수a를 참조하는 내부함수B를 A의 외부로 전달할 경우, A가 종료된 이후에도 a가 사라지지 않는 현상 함수 종료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 지역변수를 만들 수 있다. var outer = function(){ var a = 1; var inner = function (){ return ++a; }; return inner; } var outer2 = outer(); console.log(outer2()); console.log(outer2()); 2021. 8. 29.
[Core JavaScript] 4. callback function 1. callback function (콜백함수) 1.1 제어권 위임 1.1.1 실행시점 setInterval(콜백함수, 주기(ms)) : 주기 단위로 콜백함수 실행 1.1.2 매개변수 forEach(콜백함수, this로 인식할 대상(생략가능)) - 반환값은 undefined 1.1.3 this addEventListener(type, callback, options) - type : 반응할 이벤트 유형을 나타내는 대소문자 구문 문자열. ( click, mousemove, keyup, dragstart, scroll ) - callback : 단일 매개변수를 받으며, 발생한 이벤트를 설명하는 event 기반 객체 - 전달된 이벤트 인수(아규먼트)의 currentTarget 속성(프로퍼티) 1.2. 콜백함.. 2021. 8. 29.
[Core JavaScript] 3. this 1. this - 실행컨텍스트가 활성화 될때 ThisBinding함 - 함수가 호출될 때 결정된다. 2. 호출하는 방식에 따른 this 2.1. 전역공간에서 2.1.1. 전역객체 host객체 런타임에 따라 전역객체가 달라짐. ECMAScript가 전역객체 정의 해둔 내용에 따라 런타임에서 제공하는 내용. 브라우저 - window nodeJS - global 2.2. 함수를 함수호출시 전역객체 함수를 호출하는 순간에 전역공간에서 호출하는 것. ES6 에서는 아예 thisBinding을 하지 않는 arrow function 이 나옴. arrow function은 바로 위 컨텍스트에 있는 this를 그대로 가져다 씀. 2.3. 함수를 메서드로 호출시 메서드를 호출한 주체(메서드명 앞) 호출된 대상객체가 바인딩.. 2021. 8. 29.